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 경기는 2004년 8월 25일에 진행되었다. 이란의 호세인 레자자데가 인상 210.0kg, 용상 263.5kg으로 합계 472.5kg을 기록하며 금메달을 획득했고, 라트비아의 빅토르스 슈체르바티흐스가 455.0kg으로 은메달, 불가리아의 벨리치코 촐라코프가 447.5kg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호세인 레자자데는 용상에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역도 여자 63kg급에서는 나탈리아 스칼쿤이 우크라이나 대표로 금메달을, 한나 바치우슈카와 타치아나 스투칼라바가 벨라루스 대표로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한나 바치우슈카는 인상에서 세계 기록을, 나탈리아 스칼쿤은 용상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여자 +75kg급은 탕궁훙이 금메달, 장미란이 은메달, 아가타 브루벨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탕궁훙은 용상과 합계에서, 장미란은 합계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는 16개국이 참가하여 그리스 6개 도시에서 23세 이하 선수들이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를 거쳐 메달 경쟁을 벌인 결과, 아르헨티나가 금메달, 이탈리아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카를로스 테베스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04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 남자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남자 핸드볼은 12개국이 참가하여 크로아티아가 금메달, 독일이 은메달, 러시아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8위를 기록했으며 윤경신이 득점왕을 차지했다. - 올림픽 역도에 관한 -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
201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남자 8체급과 여자 7체급으로 나뉘어 진행된 역도 경기로, 26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중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대한민국은 윤진희의 동메달로 종합 15위를 기록했으며 도핑 문제로 순위가 변경되기도 했다. - 올림픽 역도에 관한 -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
1896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아테네 파나티나이코 스타디움에서 남자 경기만 진행되었으며, 한손과 양손 두 종목에 5개국 7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비고 옌센과 론세스톤 엘리엇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 | |
종목 | 역도 |
세부 종목 | 남자 +105kg급 |
대회 | 2004년 하계 올림픽 |
개최지 | 아테네 |
경기장 | 니카이아 올림픽 역도 경기장 |
날짜 | 2004년 8월 25일 |
참가 선수 | 17명 |
참가 국가 | 15개국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호세인 레자자데 |
금메달 국가 | IRI |
은메달 | 빅토르스 슈체르바티흐스 |
은메달 국가 | LAT |
동메달 | 벨리치코 촐라코프 |
동메달 국가 | BUL |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 | |
이전 대회 | 2000 |
다음 대회 | 2008 |
관련 템플릿 |
2. 경기 일정
모든 시간은 동유럽 서머 타임 (UTC+03:00) 기준이다.
날짜 | 시간 | 경기 |
---|---|---|
2004년 8월 25일 | 16:30 | B조 |
20:00 | A조 |
2. 1. 경기 날짜
2004 Summer Olympics Weightlifting – Men's +105 kg|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영어 경기는 동유럽 서머 타임 (UTC+03:00) 기준으로 2004년 8월 25일에 열렸다.[1]날짜 | 시간 | 경기 |
---|---|---|
2004년 8월 25일 | 16:30 | B조 |
20:00 | A조 |
2. 2. 경기 시간
모든 시간은 동유럽 서머 타임 (UTC+03:00) 기준이다.날짜 | 시간 | 경기 |
---|---|---|
2004년 8월 25일 | 16:30 | B조 |
20:00 | A조 |
3. 메달리스트
3. 1. 금메달
3. 2. 은메달
순위 | 선수 | 그룹 | 체중 | 인상 1차 | 인상 2차 | 인상 3차 | 인상 결과 | 용상 1차 | 용상 2차 | 용상 3차 | 용상 결과 | 합계 |
---|---|---|---|---|---|---|---|---|---|---|---|---|
빅토르스 셰르바티흐스 | A | 140.72kg | 197.5kg | 202.5kg | 205kg | 205kg | 242.5kg | 250kg | 250kg | 455kg |
3. 3. 동메달
4. 경기 결과
순위 | 선수 | 조 | 체급 | 인상 (kg) | 용상 (kg) | 합계 | ||||||
---|---|---|---|---|---|---|---|---|---|---|---|---|
1 | 2 | 3 | 결과 | 1 | 2 | 3 | 결과 | |||||
حسین رضازاده|호세인 레자자데fa (이란) | A | 162.95 | 200.0 | 207.5 | 210.0 | 210.0 | 250.0 | 262.5 | 472.5 | |||
빅토르스 슈체르바티흐스 (라트비아) | A | 140.72 | 197.5 | 202.5 | 205.0 | 205.0 | 242.5 | 250.0 | 455.0 | |||
벨리치코 촐라코프 (불가리아) | A | 161.31 | 200.0 | 205.0 | 207.5 | 207.5 | 240.0 | 240.0 | 447.5 | |||
4 | 헨나디 크라실니코우 (우크라이나) | B | 118.43 | 195.0 | 200.0 | 200.0 | 235.0 | 240.0 | 240.0 | 440.0 | ||
5 | 올렉시 콜로콜체우 (우크라이나) | A | 125.07 | 190.0 | 195.0 | 195.0 | 235.0 | 242.5 | 242.5 | 437.5 | ||
6 | 파벨 나이데크 (폴란드) | A | 140.44 | 182.5 | 187.5 | 190.0 | 190.0 | 240.0 | 240.0 | 430.0 | ||
7 | 샨 해먼 (미국) | A | 158.93 | 192.5 | 192.5 | 230.0 | 237.5 | 237.5 | 430.0 | |||
8 | 안용권 (대한민국) | A | 136.90 | 195.0 | 202.5 | 202.5 | 225.0 | 225.0 | 427.5 | |||
9 | 이고르 할릴로프 (우즈베키스탄) | B | 145.33 | 180.0 | 185.0 | 187.5 | 187.5 | 225.0 | 232.5 | 232.5 | 420.0 | |
10 | 그르제고르즈 클레슈치 (폴란드) | B | 124.33 | 185.0 | 190.0 | 190.0 | 225.0 | 225.0 | 415.0 | |||
11 | 모하메드 이흐산 (이집트) | B | 142.72 | 180.0 | 185.0 | 185.0 | 220.0 | 220.0 | 405.0 | |||
12 | 아와자키 타카노부 (일본) | B | 127.70 | 165.0 | 170.0 | 170.0 | 215.0 | 215.0 | 385.0 | |||
13 | 호엘 브란 (과테말라) | B | 134.26 | 150.0 | 160.0 | 160.0 | 210.0 | 210.0 | 370.0 | |||
14 | 이테 데테나모 (나우루) | B | 137.65 | 147.5 | 152.5 | 155.0 | 155.0 | 192.5 | — | 192.5 | 347.5 | |
— | 스티안 그림세트 (노르웨이) | B | 158.30 | 180.0 | 185.0 | 185.0 | — | — | — | — | ||
— | 로니 벨러 (독일) | A | 151.84 | 195.0 | 195.0 | — | — | — | — | — | ||
— | 아쇼트 다니엘리얀 (아르메니아) | A | 163.27 | — | — | — | — | — | — |
4. 1. 최종 순위
순위 | 선수 | 인상 (kg) | 용상 (kg) | 합계 (kg) |
---|---|---|---|---|
-- | حسین رضازاده|호세인 레자자데fa (이란) | 210.0 | 262.5 | 472.5 |
-- | 빅토르스 슈체르바티흐스 (라트비아) | 205.0 | 250.0 | 455.0 |
-- | 벨리치코 촐라코프 (불가리아) | 207.5 | 240.0 | 447.5 |
4 | 헨나디 크라실니코우 (우크라이나) | 200.0 | 240.0 | 440.0 |
5 | 올렉시 콜로콜체우 (우크라이나) | 195.0 | 242.5 | 437.5 |
6 | 파벨 나이데크 (폴란드) | 190.0 | 240.0 | 430.0 |
7 | 샨 해먼 (미국) | 192.5 | 237.5 | 430.0 |
8 | 안용권 (대한민국) | 202.5 | 225.0 | 427.5 |
9 | 이고르 할릴로프 (우즈베키스탄) | 187.5 | 232.5 | 420.0 |
10 | 그르제고르즈 클레슈치 (폴란드) | 190.0 | 225.0 | 415.0 |
11 | 모하메드 이흐산 (이집트) | 185.0 | 220.0 | 405.0 |
12 | 아와자키 타카노부 (일본) | 170.0 | 215.0 | 385.0 |
13 | 호엘 브란 (과테말라) | 160.0 | 210.0 | 370.0 |
14 | 이테 데테나모 (나우루) | 155.0 | 192.5 | 347.5 |
5. 신기록
호세인 레자자데 (이란)가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에서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1]
5. 1. 용상
호세인 레자자데 (이란)이 200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105kg급 용상에서 263.5kg을 들어올려 올림픽 신기록을 세웠다.[1]6. 기존 기록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이전에 역도 남자 +105kg급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은 다음과 같았다.
종목 | 기록 | 선수 | 국가 | 장소 | 날짜 |
---|---|---|---|---|---|
인상 | 213kg | 호세인 레자자데 | 중국 친황다오 | 2003년 9월 14일 | |
용상 | 263kg | 호세인 레자자데 | 폴란드 바르샤바 | 2002년 11월 26일 | |
합계 | 472.5kg | 호세인 레자자데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2000년 9월 26일 | |
인상 | 212.5kg | 호세인 레자자데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2000년 9월 26일 | |
용상 | 260.0 kg | 올림픽 기준 | — | 1997년 1월 1일 | |
합계 | 472.5kg | 호세인 레자자데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2000년 9월 26일 |
호세인 레자자데 (이란)는 인상, 용상, 합계에서 모두 세계 기록과 올림픽 기록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었다.
6. 1. 세계 기록
종목 | 기록 | 선수 | 국가 | 장소 | 날짜 |
---|---|---|---|---|---|
인상 | 213.0 kg | 호세인 레자자데 | 중국 친황다오 | 2003년 9월 14일 | |
용상 | 263.0 kg | 호세인 레자자데 | 폴란드 바르샤바 | 2002년 11월 26일 | |
합계 | 472.5 kg | 호세인 레자자데 |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2000년 9월 26일 |
6. 1. 1. 인상
2003년 9월 14일, 중국 친황다오에서 열린 경기에서 호세인 레자자데(حسین رضازاده|호세인 레자자데fa)가 213.0kg을 기록했다.[1]6. 1. 2. 용상
حسین رضازاده|호세인 레자자데fa가 2002년 11월 26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263.0kg을 기록했다.[1]6. 1. 3. 합계
حسین رضازاده|호세인 레자자데fa (이란)가 2000년 9월 26일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472.5kg을 세웠다.6. 2. 올림픽 기록
종목 | 선수 | 기록 | 장소 | 날짜 |
---|---|---|---|---|
인상 | 호세인 레자자데 (이란) | 212.5kg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2000년 9월 26일 |
용상 | 올림픽 기준 | 260.0 kg | — | 1997년 1월 1일 |
합계 | 호세인 레자자데 (이란) | 472.5kg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2000년 9월 26일 |
6. 2. 1. 인상
호세인 레자자데(페르시아어: حسین رضازاده|호세인 레자자데fa)가 2000년 9월 26일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 212.5kg을 기록했다.[1]6. 2. 2. 용상
용상에서는 260.0 kg이 올림픽 기준으로 1997년 1월 1일에 정해졌다.6. 2. 3. 합계
선수 | 국적 | 합계 | 비고 |
---|---|---|---|
호세인 레자자데 | 472.5kg | 2000년 하계 올림픽 (9월 26일,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참조
[1]
웹사이트
Athens 2004: Weightlifting – Men's +105 kg
http://library.la84.[...]
LA84 Foundation
2016-09-30
[2]
웹사이트
Weightlifting at the 2004 Athens Summer Games: Men's Super Heavyweight
https://www.sports-r[...]
2020-02-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